
민첩하게 일하기_스프린트(Sprint)란?

안녕하세요 윱입니당🐈⬛
지난 글에서는 애자일 프레임워크(Agile framework) 중 하나인 스크럼(Scrum)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스프린트(Sprint)와 beyo에서 스프린트를 진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협업툴(tool)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애자일(Agile)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 여기를 클릭
스크럼(Scrum)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 여기를 클릭
짧지만 강력하게, 스프린트!

'전력 질주' 또는 '전속력으로 달린다'라는 뜻의 스프린트(Sprint)는 달리기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 속에서도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어인데요!
오늘은 지난 시간 소개드린 스크럼(Scrum)에 이어 업무방식 중 하나인 스프린트(Sprint)는 무엇이고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스프린트(Sprint)는 무엇일까
"Sprints are the heartbeat of Scrum, where ideas are turned into value."
— The Scrum Guide 2020, Ken Schwaber & Jeff Sutherland
스프린트(Sprint)는 작고 반복 가능한 개발 기간을 뜻하며, 스크럼(Scrum) 방식에서 제품 개발을 할 때 구성하는 기본적인 업무 단위이자 실행 주기를 말합니다.
보통 1~4주 정도의 고정 기간 동안 팀이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업무를 진행합니다.
스프린트의 특징
스프린트는 단순히 짧은 주기마다 프로젝트를 반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스프린트는 보다 유연하게 변화에 대응하고, 반복을 통해 완성도를 높이고, 고객 중심의 결과물을 만들 수 있게 해주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가치 중심 개발(Value-Driven Delivery)
스프린트는 가치 단위로 업무를 진행하며 하나의 작은 목표 단위입니다. 스프린트 종료 시에는 사용자나 고객에게 실제로 도움이 되는 기능 또는 개선 사항이 만들어져야 합니다.
짧고 반복되는 주기
스프린트를 진행하는 팀은 내부의 업무를 자주 점검하고 방향성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스프린트를 진행하며 과정과 결과 속의 작은 오류들을 빠르게 발견하고 개선이 가능합니다.
스프린트마다 리뷰와 회고를 통해 결과와 과정을 되짚기 때문에, 단순 반복이 아닌 진화적인 반복(iterative + incremental)이 가능합니다.
변화에 대한 적응력
스프린트마다 게획을 새롭게 세우고 조정하기 때문에 시장이나 고객 요구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스프린트의 구조
스프린트의 구조는 지난 글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아래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프린트 계획(Sprint planning)
해당 스프린트에서 무엇을 만들지(what), 해당 스프린트를 진행하는 목적이 무엇인지(Why), 그리고 어떻게 진행할지(How)를 결정합니다.
회의를 통해 스프린트 목표와 스프린트 백로그를 설정합니다.
스프린트 진행 기간
매일 데일리 스크럼(Daily Scrum)을 진행하며 작업 상화을 공유하고 점검합니다.
해당 기간 동안 작업 항목을 변경하거나 목표를 바꾸는 일은 지양하도록 합니다.
스프린트 리뷰(Sprint Review)
스프린트 종료 시 완성된 기능 또는 결과물을 시연합니다.
피드백을 진행하고 제품 방향을 유연하게 조정합니다.
스프린트 회고(Sprint Retrspective)
팀에서 해당 스프린트의 진행 과정과 방식, 장애 요인 등을 되돌아봅니다.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개선 사항을 도출합니다.
스프린트는 팀이 규칙적인 리듬으로 일할 수 있고 목표에 집중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업무 방식입니다. 이러한 스프린트를 반복하여 진행할수록 제품은 더욱 견고해지고, 팀은 더욱 유연하고 민첩해지며 더욱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비요에서의 스프린트 100% 활용법
비요는 다양한 스프린트 관련 협업툴을 사용하여 매주마다 스프린트를 계획하고 점검하며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어떠한 협업툴을 사용하고 있는지 간단하게 소개해드리고 글을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비요의 스프린트 플래닝과 회고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
👉 여기를 클릭
Jira
Jira는 Attassian에서 운영하고 있는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도구입니다. Jira 를 통해 스프린트 백로그 관리, 스프린트 진행 및 관리, 스프린트 별 번다운 차트 추척 등 다양한 스프린트와 관련된 업무들을 쉽고 간단하게 관리할 수 있어요.

활성화된 스프린트(진행중)는 대시보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각 스토리 담당자별로 구분하여 간편하게 업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eam O'clock
Team O'clock은 스프린트 회고 진행과 액션 아이템 도출을 위해 사용하는 협업툴입니다. 팀원 모두가 함께 기명 또는 익명으로 Start(새롭게 시작했으면 하는 것) / Stop(그만했으면 하는 것) / Continue(앞으로도 지속 했으면 하는 것)을 자유롭게 기재하고 투표를 진행하여 우선순위별로 액션 아이템을 도출해 다음 스프린트 백로그에 업무를 등록합니다.

또한 비요에서는 Slackbot으로도 함께 활용하고 있습니다. Team O'clock에서 제공하는 스탠드업 미팅(Stand-up meeting) 노트를 활용하여 매일 각자 업무를 작성하고 체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Slack
Slack은 많은 스타트업과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내 메신저인데요! 비요에서도 기본적인 메신저로 Slack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비요는 매일 오전에 데일리 스크럼(Daily Scrum)을 진행하는데요, 실시간으로 빠르게 소통하기 위해서 허들(huddle) 기능을 사용하여 매일 Slack 내에서 회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데일리 스크럼에서는 미리 작성해둔 스탠드업 미팅 노트의 내용을 공유하고 각자 업무상의 문제는 없는지, 고민은 없는지 함께 체크합니다. 그리고 하루 중 특별한 사항이 있는지, 출근 형태는 어떠한지 등 팀원별 상황도 함께 공유하는 시간을 가진답니다!
비요뜨의 스프린트 미팅
비요는 매주 수요일마다 정기적으로 스프린트 미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스프린트 기간을 1주로 지정하여 조금 더 빠르고 속도감 있는 진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개발팀 뿐만 아니라 팀원 전체가 스프린트에 참여하여 모두가 함께 달려나갈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 즐거운 스프린트 미팅의 하루 일과
1. 회고 진행(start~1hr)
- 현재 진행하고 있는 스프린트에 대한 회고를 진행해요
- 스마님이 결정하는 시간에 따라서 각 세션에 맞게 내용을 작성해요 `내용은 익명으로 작성돼요!`
- 작성이 끝나면 다같이 적힌 내용을 읽어보아요
- 내용 확인 후 공감하거나 진행하길 희망하는 의견에 투표를 진행해요 `투표도 익명으로 진행돼요!`
- 투표가 끝나면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순으로 확인한 후, 각 의견에 대한 action item을 결정해요
- 지난 회고에서 나왔던 action item을 확인해보고, 진행되었다면 done 처리를 해요
2. 백로그 확인 및 미뤄둔 백로깅 진행하기
- product/business 팀 별로 다음 스프린트에서 진행할 업무를 백로그에 기재하는 시간을 가져요
3. 스프린트 플래닝(start~1hr)
- 스프린트 플래닝 포커를 통해 스토리별 점수를 다같이 부여해요
- 점수는 피보나치 수열 순서대로 선택할 수 있고 업무 강도와 분량, 걸리는 시간 등을 종합해서 본인이 생각하기에 알맞다고 생각하는 점수를 부여하면 돼요
- 모두가 투표한 점수를 보고 스마님이 결정한 점수로 결정해요
4. 스프린트의 이름과 목표 설정하기
- 포커를 진행한 스프린트의 이름과 목표를 설정하고 회의를 마쳐요
- 스프린트 이름은 ㄱ~ㅎ, A~Z, 순서로 돌아와요
- 해당 스프린트의 초성에 맞는 서비스 or 상품or회사 이름으로 결정해요
이러한 비요만의 스프린트 진행 규칙을 세우고 진행하면서 더욱 민첩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해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좋은 점은 더욱 강화하고 개선점은 빠르게 조정해나가면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함께 노력하고 있습니다! 😎😎
오늘은 스프린트(Sprint)대해서 알아보고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고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또 관련된 협업툴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았는데요,
다음에는 비요에서 사용하고 있는 협업툴에 대해 더욱 자세한 내용을 소개하고 비요에서 어떻게 활용해서 일하고 있는지 알아가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또 다른 이야기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당 🐈⬛
비요에 방문하시면 스크럼 문화를 경험하실 수 있어요🥰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
📚 참고문헌 및 아티클
- Ken Schwaber & Jeff Sutherland, Scrum guide, 2020 (https://scrum-korea.com/guide-k/)
- Team Slack, Slack website (https://slack.com/intl/ko-kr/)
- Team Atlassian, Jira website (https://www.atlassian.com/ko/software/jira)
- Team o`clock, website (https://www.teamoclock.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