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logo icon
article content thumbnail

민첩하게 일하기_스크럼(Scrum)이란?

민첩하게 일하기 시리즈 (2). 스크럼(Scrum)이란? / beyo의 조직 문화인 스크럼(Scrum)에 대해 알아봅니다.

안녕하세요 윱입니당🐈‍⬛


지난 글에서는 애자일 프레임워크(Agile framework)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애자일한 방식 중 하나인 스크럼(Scrum)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애자일(Agile)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 여기를 클릭


모여봐요, 스크럼의 숲

만약 이 글을 읽고 계시는 여러분께서 럭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계셨다면 스크럼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고, 접했을 것이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스타트업에서 사용하는 스크럼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스크럼을 운영하고 이끌어나가는지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스크럼(Scrum)이란 무엇일까

“Scrum is a lightweight framework that helps people, teams and organizations generate value through adaptive solutions for complex problems.”

The Scrum Guide 2020, Ken Schwaber & Jeff Sutherland

스크럼(Scrum)이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가치 있는 제품을 생산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애자일(Agile) 프레임워크입니다.

이는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고객에게 지속적인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계획보다는 적응(Adaptation)에 집중하고,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높은 제품 개발 상황에서 효율적인 협업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스크럼을 구성하는 요소들

스크럼은 크게 아래와 같은 구성요소를 통해 일정한 주기를 두고 진행합니다.

역할(Roles)


  • 프로덕트 오너(Product Owner)

    프로덕트 오너는 제품에 대한 비전과 가치를 책임지는 사람입니다. 이해관계자와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여 제품 백로그를 구성하고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

  • 스크럼 마스터(Scrum Master)

    스크럼 팀이 스크럼 프레임워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의 역할을 하는 사람입니다. 팀이 자율성과 협업을 유지하도록 장벽을 제거하며 조직 전체에 스크럼 문화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스크럼 팀원 또는 개발자(Developers)

    제품을 실제로 만들어내는 실무자로서, 설계, 개발, 테스트, 문서화, 배포 등 각 단계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직무에 따라 나뉘지 않고 동등하게 팀의 공통된 목표에 기여하며 스스로 계획하고 작업을 나누며 목표 달성에 집중합니다.

    이전에는 개발자로만 칭하였지만 현재는 다양한 직군으로 개념을 넓혀 팀원 모두를 칭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Events)


  • 스프린트(Sprint)

    고정된 기간(보통 1~4주) 동안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하는 하나의 사이클입니다.

  • 스프린트 계획(Sprint Planning)

    팀이 이번 스프린트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스프린트 목표와 계획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회의입니다.

    🔍 스프린트 계획에서의 핵심 질문 3가지
    왜 이 스프린트를 진행하는가? (Why) / 무엇을 할 것인가? (What) / 어떻게 할 것인가? (How)
  • 데일리 스크럼(Daily Scrum)

    매일 15분 이내로 진행되는 짧은 미팅으로 팀원들의 진행 상황을 함 공유하고 계획을 조정합니다.

  • 스프린트 리뷰(Sprint Review)

    스프린트 동안 구현한 기능 또는 결과물을 시연하고, 이해관계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습니다. 고객 중심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 스프린트 회고(Sprint Retrospective)

    스프린트 진행과정과 협업 방식 등을 되돌아보며 팀이 더 나아지기 위한 개선 방향을 찾는 시간입니다.

산출물(Artifacts)


  •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

    제품에 필요한 모든 작업 항목(기능, 개선사항, 버그 수정 등)의 목록입니다. 제품 백로그를 통해 궁극적으로 달성하고 싶은 장기적인 목표를 알 수 있습니다.

  • 스프린트 백로그(Sprint Backlog)

    해당 스프린트에서 완료할 작업 항목의 목록입니다. 해당 스프린트에서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핵심적인 목표입니다.

  • 완성된 결과물(Increment)

    해당 스프린트 동안 개발된 기능 중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을 만큼 완성된 결과물입니다.

스크럼의 가치들

이와 같은 스크럼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스크럼의 기반이 되는 다섯 가지 핵심 가치에 대해 다함께 공유하고 준수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가치는 팀이 효과적으로 협업하고 성장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헌신(Commitment) 🎯집중(Focus)🙆개방성(Openness) 🤗존중(Respect) 💪용기(Courage)

이러한 스크럼 방식을 사용하면 짧은 주기로 결과를 내기 때문에 고객의 피드백에 대하여 빠르게 반응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팀원 모두가 주도적으로 계획을 세우면서 업무를 진행하기 때문에 개인의 몰입도를 높이고 팀원간의 협업을 더 원할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비요가 활용하는 스크럼은

비요는 애자일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소규모의 팀입니다. 따라서 모든 팀원이 활발하게 업무에 참여할 수 있고 보다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스크럼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비요(beyo)가 활용하고 있는 스크럼(Scrum) 일상

1. 스프린트(Sprint Planning)
- 매주마다 다함께 스프린트에 대한 플래닝을 진행합니다.
- 'jira'를 통해 백로그 등록 및 스프린트 스토리 관리를 진행합니다.
- 플래닝 포커(Planning Poker)를 통해 팀원들이 등록한 스토리를 확인하고 스토리 포인트를 투표해요.
- 스프린트마다 스프린트 목표(Sprint Goal)를 함께 지정하고 스프린트 동안 실천합니다.

2. 스프린트 회고(Sprint Review)
- 매주마다 다함께 진행했던 스프린트에 대하여 회고를 진행합니다. 
- 지난 스프린트의 번다운 차트를 점검하고 진행 속도에 대해 점검합니다. 
- 'Team O`clock'을 통해 지난 스프린트에 대한 회고(Retrospective)를 진행합니다.
- 회고 때 나온 이슈에 대하여 액션 아이템을 지정하고 백로그에 추가합니다.

3. 데일리스크럼(Daily Scrum)
- 매일마다 다함께 스탠드업 미팅을 진행합니다. 
- 스탠드업 미팅 진행 전 'Slack bot'이 업로드하는 스탠드업 노트에 내용을 기록합니다.
- 'Slack'의 '허들'을 통해 진행하고, 'Lucky-draw'를 통해 진행 순서를 결정합니다.
- 각자 하루 진행할 업무, 컨디션, 출근 형태 등을 간단히 공유합니다.

4. 스크럼마스터(Scrum Master)
- 스크럼마스터는 n주마다 랜덤 형식으로 지정합니다. 
- 스크럼마스터는 스프린트 플래닝&회고와 데일리스크럼을 관리하고 진행합니다.

위와 같은 내용들을 다함께 진행하면서 매일 그리고 매주 업무에 대해서 다같이 점검하고, 다음 스프린트에서 진행할 업무 내용들을 교류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업무 뿐만 아니라 다른 팀원들의 컨디션이나 다른 부가적인 부분들도 가볍게 알아갈 수 있어 더욱 비요를 끈끈하게 만들어주는 요소가 되었답니다! 💪💪


오늘은 스크럼(Scrum)에 대해서 알아보고 어떤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어떠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는데요,

다음에는 비요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스크럼 관련 협업툴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또 다른 이야기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당 🐈‍⬛


비요에 방문하시면 스크럼 문화를 경험하실 수 있어요🥰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


📚 참고문헌 및 아티클
- Ken Schwaber & Jeff Sutherland, Scrum guide, 2020 (https://scrum-korea.com/guide-k/)
- Team Atlassian, 스크럼이란 무엇일까? (https://www.atlassian.com/agile/scrum)
최신 아티클
Article Thumbnail
정유빈
|
2025.06.16
민첩하게 일하기_스프린트(Sprint)란?
민첩하게 일하기 시리즈 (3). 스프린트(Sprint)란? / beyo의 조직 문화이자 업무방식인 스프린트(Sprint)에 대해 알아보고 beyo의 스프린트 진행 방식에 대해 소개합니다.
Article Thumbnail
정유빈
|
2025.05.15
민첩하게 일하기_애자일(Agile)이란?
민첩하게 일하기 시리즈 (1). 애자일(Agile)이란? / beyo의 조직 문화인 애자일 프레임워크(Agile Framework)에 대해 알아봅니다.
Article Thumbnail
송송맨보샤
|
2025.05.07
컴패니언 카드 키트 워크샵
우리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어떤 존재일까?